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742)
[시스템프로그래밍] IPC D-Bus란? D-Bus란? D-Bus란 프로세스간 통신(IPC)를 위한 시스템입니다.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써 리눅스 데스크톱의 프로세스 통신을 위한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KDE와 Gnome같은 데스크탑 환경에서 중요하게 사용합니다. 구조적으로는 몇가지 계층이 있습니다. - libdbus: Libdbus는 응용 프로그램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라이브러리입니다. - message bus damon: DBUS데몬은 실행 파일이며 libdbus를 기반으로 하여 제작되었으며 여러 개의 응용프로그램에서 연결이 가능합니다. 데몬은 버스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라우팅 및 루트 메시지를 처리합니다. - wrapper library 또는 binding: libdbus-glib, libdbus-qt 등 특..
[분산처리] 서버 제작의 여러 방식 네트워크 방식에 대한 이슈 우선, 네트워크 관련 이슈 중 첫번째로 소켓 이벤트 핸들링(소켓 Event Handling)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요즘 많은 핸들링 방식 중에 IOCP(IO Completion Port)가 가장 최적의 기술로 자리 매김하고 있는 추세인데, 초기에는 IOCP의 구현 자체에 중점을 두었다면, 요즘에는 IOCP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구조에 대한 이슈가 좀 더 많은 편입니다. 즉, 기본적인 Thread Pooling을 기초로 해서 서버의 환경과 목적에 따라 어떤 방식의 처리 프로세스(Process)를 가지는 것이 좋은가에 대한 이슈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앞으로 IOCP와 관련된 이슈로 알아볼 내용은 IOCP가 어느 정도 좋은 가를 확인하기 위해서 Windows에..
[서버관리] 로그에 대한 차이점 알아보기 application-logscatalina.loglocalhost.log
[RDBMS] 파티셔닝 http://wiki.gurubee.net/pages/viewpage.action?pageId=3899999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00000039137247 ^^
[RDBMS] 성능향상을 위한 SQL 작성법 DBMS는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게 인덱스를 사용합니다. 웹 애플리케이션의 백엔드 성능을 높이려고 종종 실행하는 SQL 튜닝이란, SQL이 DBMS의 인덱스를 활용하도록 SQL을 수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인덱스를 잘 이해하고 있다면 더 좋은 SQL을 작성할 수 있을 것이고, 훨씬 더 성능 좋은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CUBRID 2008 R4.0에 적용된 다양한 인덱스 기법을 중심으로 인덱스 구조와 인덱스 활용 기법을 설명하겠습니다. MySQL이나 MS-SQL, 오라클 등 다른 DBMS도 이 글에서 설명하는 기법과 같거나 유사한 인덱스 기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CUBRID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자신이 사용하는 DBMS 인덱스를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