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운영 (TA, ADMIN) (173) 리스트형 [리눅스] RAID란? RAID의 종류와 구성방식 RAID는 왜? 사용되나서버의 사용자가 서버 운영에 있어 가장 당혹스러울 때는 하드디스크의 장애로 인한 DATA 손실일 것입니다. 하드디시크는 사실상 소모품으로 분류되며 I/O가 많은 서버에는 고장이 잦은 것이 당연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서버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경우 손실 또는 유출 되었을 때 치명적인 것이 대부분일 것으로 대표적으로 은행과 같은 금융, 군사적 목적의 데이터가 있을 것입니다. 이로 인해 백업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경우가 있고 또한, 여분의 디스크가 있어 용량을 증설하려고 할 때 데이터 손실 없이 증설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서버 관리자는 RAID 구성을 통해 하드디스크의 가용성을 높이거나 서버 데이터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RAID란?RAID는 Redundan.. [분산처리] 서버 제작의 여러 방식 네트워크 방식에 대한 이슈 우선, 네트워크 관련 이슈 중 첫번째로 소켓 이벤트 핸들링(소켓 Event Handling)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요즘 많은 핸들링 방식 중에 IOCP(IO Completion Port)가 가장 최적의 기술로 자리 매김하고 있는 추세인데, 초기에는 IOCP의 구현 자체에 중점을 두었다면, 요즘에는 IOCP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구조에 대한 이슈가 좀 더 많은 편입니다. 즉, 기본적인 Thread Pooling을 기초로 해서 서버의 환경과 목적에 따라 어떤 방식의 처리 프로세스(Process)를 가지는 것이 좋은가에 대한 이슈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앞으로 IOCP와 관련된 이슈로 알아볼 내용은 IOCP가 어느 정도 좋은 가를 확인하기 위해서 Windows에.. [서버관리] 로그에 대한 차이점 알아보기 application-logscatalina.loglocalhost.log [리눅스] 리눅스포털 리눅스커널개발 과정 오늘, 리눅스 커널 개발과정 강의를 등록했습니다. 2개월 강의에 총 52개 강좌로 하루에 한강씩만 들을 예정입니다. 작년에 리눅스해킹보안관리과정과 운영체제론 과정을 완강했고, 컴퓨터과학 지식이였지만 개발할때도 도움이 많이 되었던것 같습니다. 최근 회사에서 C로된 서버라던가 윈도우 프로그래밍을 접하게 되면서 시스템에 대한 원론적인 이해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어, 작년까지만 해도 엄두를 못냈던 리눅스 커널 개발과정을 등록 하게 되었습니다. 커널프로그래밍이기때문에 결국 임베디드 프로그래밍하고도 연결이 되는데, 제가 SW 전공이라 실제로 임베디드 관련 개발을 해볼일은 없을것 같으나, 커널을 알아두면 개발을 할때 분명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개발에 있어서는 모르는것보다는 아는것이 늘 더 나은 법이라고 생.. [리버스엔지니어링] 리버스 엔지니어링이란? 리버스 엔지니어링이란?리버스(reverse)라는 말은 반대, 역의 뜻을 가지고 있는데,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역공학이라고 쓰기도 합니다. 리버스 엔지니어링은 목표가 되는 프로그램이나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똑같은 동작을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합니다. 리버스 엔지니어링의 종류통상적으로 컴파일된 바이너리EXE, DLL, SYS 등)를 디스어셈블러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어셈블리 코드를 출력한 후 그것을 C언어 소스형태로 다시 옮겨 적고 적당한 수정을 통해 리버스하고 있는 파일과 동일한 동작을 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있습니다. 모든 어셈블리 코드를 소스 형태로 옮기지 않고 그냥 동작 방식만을 알아낸다거나 일정 부분만 수정하는 것들도 리버스 엔지니어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바이러스를 분석하는 일은 모든 ..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35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