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42) 리스트형 [리눅스] 리눅스포털 리눅스커널개발 과정 오늘, 리눅스 커널 개발과정 강의를 등록했습니다. 2개월 강의에 총 52개 강좌로 하루에 한강씩만 들을 예정입니다. 작년에 리눅스해킹보안관리과정과 운영체제론 과정을 완강했고, 컴퓨터과학 지식이였지만 개발할때도 도움이 많이 되었던것 같습니다. 최근 회사에서 C로된 서버라던가 윈도우 프로그래밍을 접하게 되면서 시스템에 대한 원론적인 이해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어, 작년까지만 해도 엄두를 못냈던 리눅스 커널 개발과정을 등록 하게 되었습니다. 커널프로그래밍이기때문에 결국 임베디드 프로그래밍하고도 연결이 되는데, 제가 SW 전공이라 실제로 임베디드 관련 개발을 해볼일은 없을것 같으나, 커널을 알아두면 개발을 할때 분명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개발에 있어서는 모르는것보다는 아는것이 늘 더 나은 법이라고 생.. [테스트] JMeter와 성능 테스트 1.1 JMeter란Apache JMeter는 웹 애플리케이션처럼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된 소프트웨어의 성능 테스트를 위해서 만들어진 100% 순수 자바 프로그램입니다. 스테파노 마조끼가 개발했으며, 이는 현재 톰캣(Tomcat)으로 이름이 바뀐 Apache JServ의 테스트를 위한 코드에서 시작됐습니다. 이후 이 코드에 GUI와 기능을 추가하여 JMeter가 만들어졌습니다. JMeter는 단위/성능/스트레스 테스트 등 많은 곳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프로토콜(Protocol)도 계속 추가되어 TCP, HTTP(S), FTP, JDBC, LDAP, SMTP, SAP/XML, RPC 등 현재 범용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 대부분을 지원합니다. JMeter는 통신 프로토콜 단계에서만 동작하고 웹 브라우저에.. [개발방법론] 계층별, 기능별 패키지 구성하기 출처: http://egloos.zum.com/springmvc/v/434948 자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프로그래머들이 고민하는 부분이 한가지 있습니다. 물론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많은 부분에서 고민을 해야겠지만 그중에도 가장 쉬우면서 딱히 가이드잡기가 어려운 패키지별로 클래스를 정리하는 과정이 그러합니다. 프로그래머는 도대체 어떤 기준으로 클래스를 분류해야 체계적으로 자신의 프로젝트를 분류가 되었고, 더 나아가 팀으로 작업할 시에 "왜 이 클래스는 이 패키지에 넣은거죠?" 라는 난해한 질문을 받지 않을 수 있을까? 먼저 패키지 분류가 복잡해지더라도 하나의 원칙과 명확한 분류기준이 있다면 그때그때 프로젝트마다 뒤죽박죽으로 바뀌는 마구잡이식 분류법을 피할 수 있습니다. 마구잡이식 프로젝트는 코드의 가독성을.. [delphi] 디버깅 프로그램을 만들다 보면 꼭 필요한 것이 바로 디버깅 도구들입니다. 디버깅이란 소스 코드를 잘못 작성해서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발생하는 에러들을 찾아내고 바로 잡는 일을 말합니다. 델파이는 이런 디버깅 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여러 디버깅 관련 도구들을 준비해 두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디버깅 방법우선 여러분이 프로그램을 작성한 후 실행시켰을 때, 프로그래멩 어떤 문제가 발생하거나 에러가 발생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러면 여러분이 해볼수 있는 일은 문제를 발생시켰다고 생각이 되는 소스 코드 부분 즉 의심스러운 소스 코드 부분에 브레이크 포인트란 것을 지정하고 델파이의 IDE에서 Run 버튼을 이용해서 그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보는 것입니다. 브레이크 포인트는 실행될 코드 부분에 즉 이벤.. [C C++] 캐리지 리턴(CR)과 라인 피드(LF) 캐리지 리턴(CR)과 라인 피드(LF)는 느린 프린터의 유산입니다. CR은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를 맨 앞으로 이동시킨다는 뜻이고, LF는 커서의 위치를 아랫줄로 이동시킨다는 뜻입니다. 이 두 동작을 합치면 뉴라인('\n')과 동일한 동작을 하게 됩니다. 굳이 두 동작으로 나눈 이유는 과거의 느린 프린터가 물리적인 동작을 취하는데 충분한 시간을 확보해주기 위해서 신호를 두개로 나누어 보내주었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둘 중 하나만 있어도 뉴라인으로 간주합니다. 그리고 LF로 뉴라인을 나타내는지 CR+LF로 뉴라인을 나타내는지는 언어의 차이가 아니라 시스템의 차이입니다. Unix-like 시스템에서는 LF로, Windows에서는 CR+LF로 표현합니다. 이전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