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프라

(5)
[인프라] 서버 모니터링 실제 실행 환경이 구동되면 장애 탐지나 각종 인프라 리소스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시스템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서버 모니터링에 대한 개요와 클라우드 서비스로 Docker 컨테이너를 모니터링하는 방버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서버 모니터링의 종류시스템 운영에서 가장 큰 목표는 시스템의 안정적인 구동입니다. 이를 위해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와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적절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다음은 가장 일반적인 서버 모니터링 항목입니다. 1. 장비 모니터링시스템을 구성하는 장비에 문제가 있는지 체크하여 하드웨어나 네트워크 장애 발생 유무를 확인합니다. 클라우드로 시스템을 구축한 경우에는 클라우드 서비스 정상 여부를 클러스터 밖에서 모니터링해야 한다. 2. 서비스 모니터링서비스에 문제가 있는지 체크합니다...
[인프라] 시스템 구성 기본 패턴 풀스택을 1대의 시스템으로 구성하기 일반적인 웹 서비스를 1대의 서버로 구축한다고 가정하면 역할의 전형적인 구분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Web] - 클라이언트의 접속 - 데이터 전송 - 정적 데이터 전달 - 동적 데이터 중계 - 동적 데이터 생성 - 애플리케이션 로직 [DB] - 데이터베이스의 가동 및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보관 [File] - 파일 형식의 데이터 보관 - 화상 및 프로그램 파일 등을 보관 각각의 역할마다 대표적인 제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Web Web 서버나 애플리케이션 서버 nginx, Apache(cgi/mod_php/mod_perl), php-fpm, plack, Unicorn, gunicorn, Tomcat, Glassfish, WebLogic, JBoss 등 DB RDBMS..
[인프라] NAT에 의한 IP 주소 변환 글로벌 IP 주소는 그 수가 부족해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으로서 사설 IP주소를 활용하는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가 이용되고 있습니다. 사설 IP 주소와 글로벌 IP를 변환함으로써, 각각의 기기가 글로벌 IP를 가지지 않은 채로 글로벌 네트워크와 통신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 NAT입니다. 엄밀하게 말해서 NAT라고 하기보다는 IP 주소와 접속포트를 변환하는 NAPT(Network Address Port Translation)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는 NAT 라우터가 소스 IP와 소스 포트 및 목적지 IP와 목적지 포트를 기억해 둠으로써 IP 주소를 변환하는 구조입니다. 이는 가정용 라우터에서도 흔히 사용되고 있으며, 대규모 서비스에서도 많이 사..
[인프라] 웹서비스 구축과 관련된 인프라 영역 1. 웹서비스에서의 인프라 범위 웹서비스를 운용하기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인프라 영역의 준비도 필수적입니다.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가 인프라 영역까지 준비하고 관리하는 것은 너무 힘든일입니다. 이유는 취급하는 대상이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기후나 주요역까지의 거리와 같은 지리적 제약, 네트워크의 기술적인 문제뿐 아니라 배선과 물리적인 거리 등의 물리적 제약, 그리고 하드웨어의 크기, 전원 용량, OS, 미들웨어 등 취급하는 대상이 너무도 다양합니다. 만들고자 하는 웹 서비스에 따라서 달라지겠지만, 일반적인 웹서비스 구축 시에 코로케이션부터 미들웨어까지의 계층까지 다루게 되기도 합니다. 다음은 웹 시스템(웹 서비스)의 계층 구조를 나타낸 표입니다. 계층(레이어) 내용 애플리케이션 독자 개발 및 M..
[인프라] 그림으로 공부하는 IT인프라 구조 그림으로 공부하는 IT인프라 구조 발 행 : 2015년 7월 20일 지은이 : 야마자키 야스시, 미나와 요시코, 아제카츠 요헤이, 사토 타카히코 옮긴이 : 김완섭 머릿말 일부 발췌 : 이 책은 숲(전체 구조)을 보여주고 나무(개별 요소)에 대해서도 상세히 알려 준다. 시스템 및 인프라 구성이라는 거시적 내용부터 CPU나 스레드 단위의 미시적 내용까지 다루고 있어서 실용성이 높은 책이다. 리뷰 : 이 책은 지은이가 4명이나 되는데 모두 일본 오라클에서 재직하고 있는 컨설턴트들이 집필했다고 한다. 각각 본인이 자신있는 분야의 챕터를 맡아 집필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부분은 꽤나 흥미로워 보였다. 개발자로써 가장 궁금한것이 그 서비스의 전체 시스템 구성 혹은 기술이다. 특히 인프라 어쩌구저쩌구 용어가 많이 나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