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수학의 기본 정석 정리
{a1, a2, ..., an}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 2^n개 이다. 집합B의 원소의 개수가 n일때, 부분집합의 개수는 2^n개로 주어지는 이유는 임의로 B={a1, a2, a3, ... an}으로 두고, 우선 가능한 부분집합을 빈 공간 { }으로 보면, 여기에 각 원소를 넣을 것인지, 넣지 않을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즉 n개의 모든 원소에 대해 부분집합을 꾸릴 수 있는 총 경우의 수는, 각 원소들을 포함시킬 것이냐, 제외시킬 것이냐 두 가지의 경울의 수를 각각 곱해줌으로써 구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빈 공간에 a1, a2, ... an이 모두 포함되지 않는다면 (모두 제외) 부분집합은 공집합이 될 것이고, 모두 포함시킨다면 부분집합은 n개의 원소가 모두 포함된 자기 자신으로 나올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