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TA, AA) (269) 리스트형 [시스템프로그래밍] 디버깅 디버깅은 버그를 없앤다는 의미로 벌레 중에서도 해충을 없애는 것을 뜻합니다. 이렇게 벌레를 없애는 것이 프로그램의 오류를 제거하는 것과 뜻이 같아진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초창기 컴퓨터는 지금처럼 작지 않았습니다. 지금은 초고밀도 칩을 사용하기 때문에 크기를 줄일 수 있었지만 이런 기술이 없었던 초창기에는 진공관을 사용하여 컴퓨터를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컴퓨터 한대의 크기가 웬만한 건물 크기와 같았는데 이 속에는 엄청난 양의 진공관이 사용되었습니다. 진공관의 수명이 그렇게 길지 않았기 때문에 컴퓨터 내부를 돌아다니며 진공관만 교체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이때 이 사람들의 주요 임무 중 하나가 진공관 사이에 타죽은 나방같은 벌레를 제거하는 작업이었습니다. 이때부터 사용된 컴퓨터 용어가 시스템의 오류를 만.. [C C++] 리틀엔디안과 빅엔디안의 차이점 Big Endian과 Little Endian은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된 바이트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용어입니다. 이 용어는 걸리버 여행기라는 고전 소설에서 처음 나요게 되었는데, 달걀의 뾰족한 쪽을 먼저 깨먹을 것을 주장하는 무리의 "Little Endian"과 넓은 쪽 부부니을 먼저 깨먹을 것을 주장하는 무리의 "Big Endian"의 싸움. 즉, 사소한 것들로 싸우는 인간들의 모습을 풍자한 이야기에서 나오게 됩니다. 현대에 그 용어는 Danny Cohen이라는 사람의 논문 중 Memory Order라는 섹션에서 인용하게되었고, 이논문에는 CPU가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어느 순서로 저장하는가에 대해 설명했는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저장하는 것을 "Big Endian", 반대로 오른쪽에서 왼쪽을 저.. ECMAScript® 2015 Language Specification http://www.ecma-international.org/ecma-262/6.0/ [스프링] 스프링 빈 라이프 사이클 http://javaslave.tistory.com/48 [프로그래밍] API vs 웹사이트 API는 일곱가지 측면에서 웹사이트와 다릅니다. 국내에서 API의 가장 성공적인 사례가 무엇일까요? 국내 API 사례 중에서 단연 주목할 만한 것이 있다면, 날리지큐브사의 Near API입니다. 이 API는 사용자 IP를 받아서 상위주소(구단위까지)를 리턴해주는 서비스입니다. 간단하지만 광고에서 빠질수 없는 기능으로 2005년부터 네이버, DAUM 등의 여러 포털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API는 KT, SK 브로드밴드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받아서 API 형태로 공급합니다. 이렇게 API라는 영역은 뭔가 좀 특별합니다. APIgee가 그 특성을 웹사이트와 비교해서 잘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1. 이용자 Audience가 다릅니다.웹사이트는 일반인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API는 개발자가 사용합니다. 그 개발자..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