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TA, AA) (277) 리스트형 [자바] 자바8 스트림이란? 거의 모든 자바 애플리케이션은 컬렉션을 만들고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컬렉션으로 데이터를 그룹화하고 처리할 수있다. 컬렉션은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작업에 필수적인 요소다. 많은 요소를 포함하는 커다란 컬렉션은 어떻게 처리를 해야할까? 성능을 높이려면 멀티코어 아키텍처를 활용해서 병렬로 컬렉션의 요소를 처리해야 한다. 람다 표현식은 메서드로 전달할 수 있는 익명함수를 단순화한 것이다. 람다 표현식에는 이름은 없지만, 파라미터 리스트/바디/반환형식/발생할수 있는 예외 리스트는 가질 수 있다. 파라미터: 메서드의 파라미터화살표: ->는 람다의 파라미터 리스트와 바디를 구분람다의 바디: 람다의 반환값에 해당하는 표현식 스트림이란 무엇인가? 스트림을 이용하면 선언형(즉, 데이터를 처리하는 임시 구현 코드 대신 .. [스프링] 스프링 프레임워크 5.0 (2) - 스프링부트 스프링 부트의 목표는 새로운 컴포넌트로 문제를 빠르게 해결하는 것이다. - 왜 스프링 부트인가? - 스프링 부트가 제공하는 기능은 무엇인가? - 자동 설정이란 무엇인가? - 스프링 부트란 무엇인가? - 스프링 부트를 사용할때 백그라운드에서는 어떤 일이 발생할까? - 스프링 Initializer를 사용해 새로운 스프링 부트를 어떻게 만들까? - 스프링 부트로 기본적인 RESTful 서비스를 어떻게 만들까? 스프링 부트는 무엇인가? 스프링 부트는 코드 생성 프레임워크가 아니기 때문에 코드를 생성하지 않는다. 스프링 부트는 애플리케이션 섭도, 웹서버도 아니다.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웹서버와의 통합을 제공한다. 스프링 부트는 특정 프레임워크나 스펙을 구현하지 않는다. 스프링부트란 무엇이며, 지난 2년동안 왜 인.. [스프링] 스프링 프레임워크 5.0 (1) 스프링 프레임워크"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최신 자바-기반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포괄적인 프로그래밍 및 구성 모델을 제공한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엔터프라이즈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주요 목표는 애플리케이션의 여러 부분을 연결하는데 필요한 모든 기술을 제공하고 전담 처리하는 것이다.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중요한 이유는 "단순화된 단위 테스팅 / 복잡한 코드 감소 / 아키텍처의 유연성" 등이 있다. 단순화된 단위 테스팅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의존성 주입은 의존성을 자신의 mock로 쉽게 대체함으로써 단위 테스팅을 가능하게 한다. 단위 테스트를 위해 전체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필요가 없다. 복잡한 코드 감소스프링 프레임워크 이전의 일반적인 J2EE 애플리케이션에는 복잡.. [Vue.js] Vuex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작성 아래는 예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constant를 정의한 것이다. 상태를 변경하는 작업(mutation)과 action을 모두 찾아 등록한다. export default { FETCH_CONTACTS: "fetchContacts",// 연락처 조회 ADD_CONTACT_FORM: "addContactForm",// 입력폼 나타내기 ADD_CONTACT: "addContact",// 연락처 추가 EDIT_CONTACT_FORM: "editContactForm",// 수정폼 나타내기 UPDATE_CONTACT: "updateContact",// 연락처 수정 CANCEL_FORM: "cancelForm",// 입력, 수정폼 닫기 EDIT_PHOTO_FORM: "editPhotoForm",// 사진 편집폼 나타.. [프로그래밍] 함수형 반응형 프로그래밍 1. 함수형 반응형 프로그래밍1.1. 프로젝트, 복잡도의 벽에 부딪히다.1.2. 함수형 반응형 프로그래밍이란?1.3. FRP가 적합한 분야와 현재 상황1.4.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이벤트란?)1.5. 상태 기계 분석의 어려움1.6. 버그 없는 대화형 애플리케이션1.7. 리스너는 이벤트 처리의 기둥.1.8. 리스너의 여섯가지 문제점1.9. 그냥 리스너만 고쳐서 사용하지 않는 이유1.10. 재시작 그리고, 상태가 문제되는 이유1.11. FRP의 장점: 복잡도 다루기1.12. FRP는 어떻게 동작하는가 (FRP 프로그램의 생애 주기)1.13. 패러다임 전환 (패러다임, 패러다임 전환)1.14. 의존성 관점에서 생각하기.1.15. 선언적으로 생각하기 (이 프로그램은 무엇인가)1.16. FRP, 개념적 이해 vs ..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56 다음